Karsenia koreana Min, Yang, Bonett, Vieites, Brandon & Wake, 2005
Korean Crevice Salamander, Ikkee dorongyong | family: Plethodontidae subfamily: Plethodontinae genus: Karsenia |
Species Description: Min MS, Yang SY, Bonett RM, Vieites DR, Brandon RA, Wake DB 2005 Discovery of the first Asian plethodontid salamander. Nature 435:87-90 |
© 2012 Todd Pierson (1 of 9) |
|
|
Description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가진 이끼도롱뇽은 북아메리카의 플레토돈속과 유사하다. 암컷들의 체장길이는 41.4 – 50.8mm, 수컷들의 체장길이는 37.2 – 45.5mm이다. 건장하고 넓은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콧구멍과 비교적 동그란 코를 쉽게 포착할 수 있다. “Nasolabial groove” 은 윗입술의 부어있는 부분에 위치하여있고 눈은 작지만 돌출되어있다. 이끼도롱뇽의 동그란 혀는 입 앞쪽 턱 근처에 달려있지만 마취된 개체는 매우 돌출되어있는 혀를 가지고 있다. 수컷은 작은 크기의 상악치아 43 - 50개와 13 - 21개의 vomerine 치아가 있고, 암컷은 상악치아 40 - 56개와 12 - 20개의 vomerine 치아를 가지고 있다. 구개에는 큰 쌍의 약 150개의 paravomerine 치아가 위치하고 있다. 14 - 15개의 갈비뼈고랑을 가지고 있으며 꼬리는 체장길이보다 비슷하거나 조금 길다. 꼬리의 시작점은 원통형이지만 점점 세로로 납작해지는 형태이다. 도롱뇽의 팔과 다리를 서로를 향해 몸에 붙여보면 길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끼도롱뇽은 팔과 다리 중간에 3-4개의 갈비뼈고랑이 남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팔다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짧은 손가락, 발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끝은 뭉툭하다. 살짝 물갈퀴화가 되어있고 다섯번째 발가락은 네번째 발가락보다 두드러지게 짧다 (Min et al. 2005). Diagnosis 이끼도롱뇽은 플레토돈속 도롱뇽이기에 폐나 익상골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아주 많은 paravomerine 치아가 있고 주둥이 가운데에 홈이 있다. 이끼도롱뇽은 유일하게 아시아에서 발견된 플레토돈속이다. 플레토돈속이 다른 미주도롱뇽과와 다른 점은 발목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Aneides와 Chiropterotriton은 비교적 큰 5번 _______. 이끼도롱뇽은 Aneides와 Chiropterotriton와 다른 점이 많다. 예를 들어, 짝이 지어있는 상악골, 작은 손과 발,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 앞쪽에 달린 혀, 그리고 ceratobranchial (각새골)보다 짧은 epibranchial (상새골)을 가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특히 북아메리카 서쪽에 서식하는 플레토돈속과 닮았지만 더 짧고 작은 몸을 가지고 있다. 북서쪽 캘리포니아와 남서쪽 오리건에 살고 있는 개체보다 less prominent한 턱근육을 가지고 있지만 손과 발은 매우 비슷한 형태이다. 전상악과 윗쪽 두개골은 서쪽 플레토돈속과 비슷하지만 족근과 보습뼈는 Aneides와 유사하다. 하지만, 비교적 덜 부풀어 오른 턱 근육과 짧은 발가락을 지니고 있다 (Min et al. 2005). Coloration 몸통은 대부분 어둡고 몸통 옆쪽은 특히 더 어두운 색깔을 띈다. 등에는 붉은 갈색의 띠가 주둥이의 끝부터 꼬리까지 이어져있지만 골반과 꼬리의 시작점에서 제일 선명하다. 몸 아래쪽은 회색이고 옆구리보다 밝다 (Min et al. 2005). Variation 이끼도롱뇽은 성적 이형성도 지니고 있다. 수컷 이끼도롱뇽의 평균 체장길이는 암컷보다 짧으며 빨리 성숙해지기 때문에 몸 크기도 차이가 난다. Distribution and Habitat 이끼도롱뇽은 대전에 위치한 장태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이끼가 많이 낀 돌 밑에 산다. 대한민국의 서쪽 지역과 평창의 북동쪽 지역에 서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내였다. 많은 이끼도롱뇽이 발견된 비교적 오래되지 않은 활엽수와 소나무숲은 대한민국에 퍼져있으며 현재 알고 있는 지역보다 넓을 가능성도 있다. 작은 돌맹이와 석회암 밑 그리고 바위가 많은 땅에서 개체들이 발견되었다 (Min et al. 2005, Borzée et al. 2019). Life History, Abundance, Activity, and Special Behaviors 이끼도롱뇽은 습한 삼림지에 서식하며 물과는 거리가 먼 땅의 바위 밑에 산다. 구체적으로는 축축하고 이끼가 낀 바위 밑에서 발견된다. 건조한 겨울에는 폭우가 쏟아져야 살아남을 확률이 높다 (Borzée et al. 2019). 한국에는 비교적 많은 이끼도롱뇽이 존재하며 대전의 서쪽 경계선에서 자주 발견 되었다 (Song et al. and Borzée et al.). 구애행동이나 일생에 관한 정보가 아직 많이 없기 때문에 Hydromantes, Atylodes, Speleomantes, Aneides 등 가까운 종들을 연구하여 이끼도롱뇽의 생애를 파악해야 한다 (Song et al. 2017). 또한, 수컷 이끼도롱뇽은 암컷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성체가 비교적 작다. Larva 미주도롱뇽과인 이끼도롱뇽은 어미 뱃속의 모든 유생과정을 거친 다음 새끼 상태로 알에서 태어난다. Trends and Threats 이끼도롱뇽의 분포도를 분석해보면 서쪽 대한민국과 북동쪽 평양으로 서식지가 뻗어나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끼도롱뇽을 향한 위협들을 무시하면 안된다. 이끼도롱뇽은 건조한 겨울철동안 많은 양의 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로 인한 강수량의 변화에 따라 이끼도롱뇽의 서식지가 달라질 수 있다. 서식지 분할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어 개체들을 백두대간보호지역으로 옮겨야 할 수도 있다 (Borzée et al. 2019). Comments Phylogenetic Relationships 유일한 한국의 미주도롱뇽과인 이끼도룡뇽의 발견은 굉장히 놀라웠다. 일반적인 형태는 플레토돈속과 유사하지만, 신체 내부 구조와 핵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이끼도롱뇽이 플레토돈속과는 꽤나 분리되어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발목의 형태는 기는도롱뇽과 비슷하고, 이 종과 다른 desmognathine 플레토돈과 미주도롱뇽과이 포함되어있는 계통군의 sister 분류군에 위치하고 있다. 이끼도롱뇽을 공식적으로 알렸을 당시에는 보존 상태의 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았었다 (Min et al. 2005). RAG-1 nDNA의 베이즈 추론과 maximum likelihood analysis를 통해 이끼도롱뇽은 Aneides, Desmognathus, 그리고 Phaeognathus의 sister임을 알아낼 수 있었다 (Min et al. 2005). 이끼도롱뇽은 정식으로 등록되기 34년 전부터 발견되었다. 히로시마 대학의 양서류 연구소에는 1971년 한국–일본 팀이 계룡산에서 채집했었던 표본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끼도롱뇽의 핵형은 2n = 28으로, 14개의 염색체 모두 중심에 동원체가 위치하여있고 이향적 양상 성염색체는 가지고 있지 않다. C-banding을 분석한 결과 뭉친염색체는 동원체에 중심적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지놈은 53.5pg이며 매우 크다 (Sessions et al. 2008). Etymology:
이끼도롱뇽의 속은 Karsenia로, 미주도롱뇽의 첫 수집가인 스티븐 J. 카슨의 이름을 따왔다. 종은 한반도를 표현하는 koreana이다. Feedback or comments about this page.
Citation: AmphibiaWeb. 2025. <https://amphibiawe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USA. Accessed 26 Jan 2025. AmphibiaWeb's policy on data use. |